본문 바로가기

OS (Operating System)/Linux

리눅스 (Linus) ssh로 원격 연결 (VirtualBox 우분투)

728x90

[펌] VirtualBox 우분투 ssh로 원격 연결 사용하기

 

출처 : https://www.bearpooh.com/102

 

우분투 가상 머신에 ssh로 원격 접속하여 사용하기

이전 포스팅에서 우분투 운영체제에 openssh-server 패키지를 설치하여, ssh를 통해 원격 접속해서 사용하는 방법을 다뤘다. 해당 방법은 아래 포스팅을 참고한다. 우분투 또는 우분투 서버에 ssh로

www.bearpooh.com

 

IP 주소 확인

VirtualBox

VirtualBox의 경우 기본 설정이 10.x.x.x 대역을 사용하는 사설 네트워크를 사용하도록 되어 있어 추가 설정이 필요하다.
 

VirtualBox 설정에 호스트 전용 어댑터 추가

먼저 VirtualBox 메뉴의 파일 - 호스트 네트워크 관리자를 클릭한다.
 
 
아래와 같이 아무것도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만들기 버튼을 클릭한다.
 

 

자동으로 vboxnet0이라는 이름과 함께 호스트 전용 어댑터가 추가 되고, IP는 192.168.56.1이 자동으로 부여된다.
DHCP 서버는 사용하지 않는다. 만약 사용함에 체크가 되어 있다면 체크를 해제한다.
 
 
 
 

가상 머신 전원 끄기

가상 머신에 네트워크 어댑터를 추가하기 위해 설정을 변경해야 한다.
 
전원이 켜져 있을 경우 변경이 되지 않기 때문에 전원을 꺼야 한다.
다음과 같이 전원 꺼짐으로 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가상 머신 네트워크 설정

가상 머신의 설정 버튼을 클릭하고 좌측의 네트워크 메뉴를 선택한다.
 
상단의 어댑터 2 탭을 선택하고 사용하기에 체크한다.
그리고 다음에 연결됨 항목을 클릭하고 호스트 전용 어댑터를 선택하고, 이름 항목은 앞서 생성한 vboxnet0 어댑터를 선택한다.
 
 
설정 변경이 완료되면 확인 버튼을 누르고, 해당 가상 머신을 시작한다.
 
 
 

IP 수동 할당

가상 머신 부팅이 완료되면 추가한 어댑터에 IP를 수동으로 할당한다.
호스트 전용 어댑터를 생성하면서 DHCP 기능을 비활성화 했기 때문에 IP 할당이 자동으로 되지 않는다.
 
가상 머신의 우측 상단의 전원 버튼을 클릭하고, 유선 연결 부분을 확장한 다음 유선 네트워크 설정을 클릭한다.
 
 
또는 아래 설정 버튼을 누르고 네트워크 메뉴를 클릭한다.
이더넷 어댑터가 2개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위에 있는 enp0s3이 가상 머신을 만들 때 기본으로 생성 된 어댑터 1이고, 아래에 있는 enp0s8이 새로 추가한 호스트 전용 어댑터 이다.

 

새로 추가한 enp0s8의 오른쪽에 있는 톱니 바퀴 버튼을 클릭한다.
 
 
상단의 IPv4 탭을 선택하고 수동에 체크한다.
그리고 주소는 192.168.56.101, 서브넷 마스크는 255.255.255.0, 게이트웨이는 vboxnet1의 주소인 192.168.56.1을 입력한다.

 

 

 
우측 상단의 적용 버튼을 누르고, 가상 환경에서 ip addr 명령으로 IP 할당 결과를 확인한다.
enp0s8에 192.168.56.101이 적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호스트 PC에서 ip addr 명령을 실행하면, vboxnet0 어댑터가 새로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IP는 해당 어댑터를 생성할때 적용한 192.168.56.1이 적용 되어 있다.
 

 

 

 

 

ssh 서비스 동작 여부 확인

먼저 ssh 서비스가 동작 중인지 확인한다. 이미 동작 중이라면 굳이 설치할 필요가 없다.
service 명령어 또는 systemctl 명령어를 사용하면 확인할 수 있다.

 

 

service 명령어 사용

먼저 아래 명령을 통해 ssh 서비스가 동작 중인지 확인한다.
# 아래 명령 입력 후 출력되는 목록에서 ssh가 존재하는지 확인
$ service --status-all

 

service 명령어로 확인했을때 ssh 서비스가 동작 중이면 아래와 같이 확인 가능하다.
 
 
ssh 서비스가 동작 중이지 않으면 서비스 목록에 표시되지 않는다.
 

systemctl 명령어 사용

먼저 아래 명령을 통해 ssh 서비스가 동작 중인지 확인한다.
# 아래 명령어로 조회되는 결과가 있는지 확인
$ sudo systemctl status ssh
 
ssh 서비스가 동작 중인 경우 systemctl 명령으로 확인한 경우  아래와 같이 active (running)으로 표시 된다.
 

 

ssh 서비스가 동작 중이지 않으면 아래와 같이 찾을 수 없다는 메시지가 출력된다.
 
 
 
 

openssh-server 설치

openssh-server를 설치하는 방법은 두 가지이다.
이미 우분투 운영체제가 동작 중인 경우에는 apt 패키지로 설치 할 수 있고, 우분투 서버인 경우 운영체제 설치 과정에서 선택 할 수 있다.
 

apt 패키지 설치

우분투에서 아래 명령어를 입력하여 openssh를 설치한다.
# 설치
$ sudo apt update
$ sudo apt install openssh-server
 

우분투 서버 설치 과정에서 선택

우분투 서버를 설치할 때 아래와 같이 openssh-server를 설치할 것인지 묻는 화면이 나오는데 체크해서 설치하면 된다.
 

 

서버의 경우 일반적으로 원격으로 접속해서 작업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운영체제 설치할때 openssh 설치 여부를 묻는다면 반드시 설치하는 것이 좋다.
 
 

ssh 서비스 동작 여부 확인

openssh-server 설치를 마치면 서비스로 등록되어 바로 실행되지만, 만약 실행 중이 아니라면 다음 명령을 수행한다.
# ssh 실행 여부 확인
$ sudo systemctl status ssh

# ssh 서비스 활성화 및 시작
$ sudo systemctl enable ssh
$ sudo systemctl start ssh
 

ssh 연결하기

우분투 서버에 ssh로 연결하는 방법은 생각보다 쉽다.
 
아래와 같이 ssh 명령을 이용하여 접속하면 잘 접속 된다.
# ssh -p 포트번호 계정명@서버IP주소

# 포트는 22번,계정명은 tuna, 서버 주소는 172.16.87.137
$ ssh -p 22 tuna@172.16.87.137
 
실제로 접속을 시도하면 아래와 같이 신뢰할 수 있는 호스트로 등록할 것인지 묻는 화면이 나온다.
yes를 누르면 접속을 시도한 계정에 대한 패스워드를 묻는 창이 나타난다.
 
 
패스워드를 입력하면 다음과 같이 시스템 정보가 표시되고, 정상적으로 쉘이 실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ip확인방법

hostname -I

ip addr

 

VirtualBox 네트워크 Host-only adapter 구동 문제시

 VirtualBox 관리자 -> 파일 -> 호스트 네트워크 관리자 -> 새로운 어댑터 생성(새 어댑터 DHCP 서버 사용으로 체크)
-> 가상머신의 호스트 네트워크 설정을 새로만든 호스트 어댑터로 변경 -> 기존 호스트 네트워크 어댑터 삭제.

출처: https://dogfootnote.tistory.com/36?category=1068336 [개발노트:티스토리]

728x90